D-80
2021년 12월 19일 일요일
H와는 퀴어 퍼레이드에서 만났다. 페미당당이 행진을 이끄는 트럭에 올랐던 해였다. 이삿짐 용달 트럭에 페미당당을 상징하는 분홍색으로 무대를 세우는 것부터 우리가 직접 했다. 브라톱에 엉덩이가 다 보이는 쇼츠만 입고 트럭 위에서 출발을 기다리는데, 저 아래에서 흰 티셔츠를 입은 여자애가 팔을 흔들며 나에게 필사적으로 뭐라 뭐라 소리쳤다.
처음에는 스태프인 줄 알았다. 그의 말이 레이디 가가의 노래에 묻히자, 그는 트럭 위를 향해 손가락 하트를 만들어 내밀었다. 아, 사진을 찍으려고. 머리 위로 하트를 그려 보였다. 그는 아니라고 손사래를 치더니 손으로 전화 받는 시늉을 해 보였다. 문제가 생겨서 주최 측에서 나한테 전화를 했는데 못 받았구나! 저 뒤편에 있던 핸드폰을 가져와 확인했지만 아무런 알림도 떠 있지 않았다. 전화가 안 왔다고 핸드폰 화면을 가리키는데 그제야 음악 소리가 줄어들며 그의 말이 들렸다. 손 하트를 만들며 “애인 있어요?” 전화 받는 시늉을 하며 “번호 줄 수 있어요?”
그렇게 드라마 아니 시트콤처럼 우리는 만났다. 더는 우리가 아니지. H와 나는 이날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 내가 그를 트럭마다 번호 따고 다니는 사람인 줄 알았다고 놀리면 그는 누구 번호 물어본 경험은 평생 한 번뿐이었다고 억울해했다. 그와 나의 대화 패턴이었다.
그에 비하면 앱으로 사람을 만나는 일은 좀 시시한가? 앱을 통한 만남은 자연스럽지 않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만남이란 퀴어 사회에서는 특히 꿈만 같다. 저 사람이 퀴어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안단 말인가? 성별만 달라 보이면 일단 들이대고 보는 이성애자의 만남과는 까다로움의 수준이 다르다.
이성애자들, 즉 나의 엄마와 아빠도 꽤 낭만적으로 만나서 연애했다. 내가 들은 바로는, 아니 내가 대강 구성한 바로는 그렇다. 그들은 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서 만났다.
엄마는 책을 좋아해 그곳에 입학했지만 다른 큰 뜻은 없었다.(나중에 엄마의 아버지, 즉 나의 할아버지가 교수로 일하게 된 곳이다.) 그런데도 글을 곧잘 써서(또는 교수의 딸이라서) 졸업할 즈음에는 유학을 재차 권유받았다고 한다. 아빠는 나이트클럽에서부터 목욕탕까지 곳곳에서 일하다가 작가가 되기 위해 대학에 갔다. 엄마 말로는 아빠 친구가 대리 시험을 쳐 주어서 입학할 수 있었다는데, 모를 일이다. 하여튼 엄마는 학교를 금방 졸업하고 할아버지의 운전 기사가 태워 주는 차를 타고 회사에 출퇴근했고, 아빠는 등록금이 없어서 학교를 중퇴했다.
서로 알고는 있었지만 친하지는 않았던 둘은, 어느 여름날 동해에서 우연히 만나서 가까워진다. 전화 예약조차 낯선 시절, 피서철을 맞은 동해에서는 동네 남자애들에게 민박집 호객을 시켰다. 동해에 놀러 온 엄마는 고향에서 친구들과 호객하던 아빠와 그렇게 만났다.
이런 간지러운 사연을 내가 왜 알고 있지? 엄마도 아빠도 당신들이 사귀게 된 서사를 나에게 들려주었을 리가 없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지어 낸 일화는 아닐까. 하지만 엄마한테 진실을 다시 물을 수는 없다. 분노에 가까운 회피성 반응만 돌아올 테니까.
자연스러운 만남이란 무엇인가? 앱으로 짝을 찾는 일보다 더 낭만적인가? 더 큰 사랑을 보장하는가? 앱은 없어도 맞선은 있던 시대에 엄마와 아빠는 그 누구보다 자연스럽게 만났다. 그러나 그들은 내가 삶을 기억하기 시작한 시절부터, 아니 그보다 앞서 내가 기어다니던 때부터 서로 데면데면해 보였다.
내가 태어날 때 아빠는 병원에 오지 않았다고 한다. 엄마 말에 따르면, 내 탄생을 기념하며 친구들이랑 술 처마시느라 못 왔단다. 엄마는 하룻밤 꼬박 진통 끝에 나를 낳고서 생각했다. ‘아기만 낳고 이혼해야지.’ 결국 동생을 또 낳았지만. 어쩌다 금연을 결심한 이의 돗대 같은 존재로 태어났을까, 나는.
퀴어문화축제에 해마다 오는 혐오 세력은 매해 비슷한 문구가 쓰인 팻말을 든다.(똑같은 손 팻말을 매해 돌려 가며 쓰나? 그 팻말은 한 해 내내 어느 교회 창고에 쌓여 있나?) 그 단골 문구 중 하나는 “엄마 아빠가 사랑해서 나를 낳았어요.” 나는 엄마와 아빠의 사랑으로 태어났을까? 이혼 결심과 함께 태어난 아기는 부모의 사랑으로 탄생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들이 한때 사랑하고 또 피부를 맞댈 정도로 친밀했다는 증거는, 오직 나의 존재뿐이었다.